국립재활원의 돌봄로봇 정책 학술토론회 개최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국립재활원에서 주최한 돌봄로봇 정책 학술토론회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사회가 고령화됨에 따라 돌봄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요, 돌봄로봇이 어떻게 이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을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행사 개요

행사 개요

이번 학술토론회는 2024년 6월 19일(수)에 국립재활원 나래관 중강당에서 개최되었습니다. 보건복지부가 주최하고 국립재활원이 주관하는 이 행사에서는 돌봄로봇의 현재와 미래를 다루는 다양한 세션이 진행되었습니다.

돌봄로봇의 필요성

돌봄로봇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2025년에 전체 인구의 20.6%가 고령 인구가 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렇게 빠르게 고령화되는 사회에서는 돌봄 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돌봄로봇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는데요, 돌봄로봇은 돌봄 공급자의 부담을 줄이고 돌봄을 받는 사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세션별 주요 내용

세션별 주요 내용

이번 학술토론회는 총 4개의 세션과 패널 토의로 구성되었습니다. 각 세션에서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모여 돌봄로봇의 현황과 미래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첫 번째 세션: 돌봄로봇의 연구 현황

첫 번째 세션에서는 대덕원자력포럼 김승호 수석위원이 좌장을 맡아 돌봄로봇의 연구 현황에 대해 발표하였으며, 국립재활원 송원경 재활보조기술연구과장, 한양대학교 신용순 교수, 홍귀령 교수, 성남시니어산업혁신센터 정덕영 부센터장이 참가하였습니다.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수요자중심 돌봄로봇 및 서비스실증 연구개발사업 현황
  • 돌봄로봇이 돌봄부담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 및 노인의 돌봄현황과 돌봄 부담
  • 사용자(노인·돌봄자)중심의 돌봄로봇(유연착용형) 실증과 서비스연계 방안

두 번째 세션: 고령사회 대응 – 일본의 돌봄경험

두 번째 세션에서는 강남대학교 박영란 교수가 좌장을 맡아 일본의 고령사회 대응 경험을 공유하였습니다. ‘초고령사회 일본이 사는 법’의 저자인 김웅철 작가가 주제 발표를 하였습니다.

세 번째 세션: 돌봄, 기술, 주거와 보험 – 미래를 위한 준비

세 번째 세션에서는 돌봄, 기술, 주거와 보험에 대해 다루며 미래를 위한 준비를 논의하였습니다. 백석대학교 서동민 교수, 란달유디케어스 임기웅 대표, 내집연구소 이용민 대표, KB골든라이프케어 유복재 본부장이 참가하였습니다. 발표된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지역돌봄통합지원법의 의미와 추진 방향
  • 일본 노인 거주 시설 사례: 젠코카이 요양원
  • 초고령사회의 노인 주거정책 현황과 과제
  • 한국의 노인 주거서비스 사례: KB골든라이프케어

네 번째 세션: 돌봄로봇 정책 현황 및 전망

네 번째 세션에서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서지영 연구위원이 좌장을 맡아 돌봄로봇 정책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 발표하였으며, 가천대학교 유재언 교수, 국민건강보험 박상희 부연구위원,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사업과 권민정 과장, 한국자활복지개발원 이상아 선임이 참가하였습니다.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복지분야 혁신기술을 적용한 제품 및 서비스 현황과 정책 동향
  • 노인장기요양보험 복지용구 현황과 돌봄로봇 도입을 위한 과제
  • 사회서비스를 통한 돌봄로봇 확대 방안
  • 지역 자활사업에서의 돌봄로봇 활용한 서비스 사례

패널 토의: 돌봄로봇 정책의 미래

패널 토의

마지막으로 패널 토의가 진행되었습니다. 고려사이버대학교 장경배 교수가 좌장을 맡아 ‘돌봄로봇 정책의 미래: 도전과 기회’라는 주제로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을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었습니다.

미래를 위한 준비

미래를 위한 준비

국립재활원 강윤규 원장은 이번 학술토론회를 통해 돌봄로봇의 실용적인 적용 방안을 논의하고, 앞으로의 돌봄로봇 적용을 통한 돌봄 서비스가 더욱 발전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으로의 초고령 사회에서는 돌봄로봇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

결론

결론

이번 학술토론회는 돌봄로봇의 현재와 미래를 깊이 있게 논의하는 자리였습니다. 다양한 전문가들의 의견과 경험을 통해 돌봄로봇이 앞으로의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에 대해 많은 힌트를 얻을 수 있었죠. 모두 활발한 논의와 혁신을 통해 더욱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길 기대해 봅니다! 🚀